본문 바로가기
Health

Sulfasalazine - 사라조피린

by Construe 2009. 11. 19.



  사라조피린en정 Salazopyrin EN tab  
    sulfasalazine 500mg  
    일성신약  


이 약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구입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입니다.  

■ 약의 효능



항염증작용,면역억제작용,항균작용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합니다.


■ 약의 올바른 용법



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하며 씹어서 복용하지 마십시오.
소변이 황색으로 변할 수 있으나 해롭지 않으며,햇빛에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
설파제에 과민증이 있다면 미리 알립니다.
설사,두통,식욕감퇴,속쓰림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부종,근육통,열,창백,황달등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나 약사에게 알립니다.
임산부나 수유부는 복용을 금합니다.
오심, 구토, 피부 발진이 나타나거나 대변의 양이나 색이 변화되면 의사나 약사에게 알립니다.



sulfasalazine


Synonyms  
   Salicylazosulfapyridine

Therapeutic Classification  
    Anti-Inflammatory Agents : GI System

Mechanism of Action  
   경구 투여량의 1/3 가량이 소장으로 흡수되며 2/3가 대장까지 가서 5-aminosalicylic acid (mesalamine, 5-ASA)와 sulfapyridine으로 분해된다. 이 중 sulfapyridine은 대부분 흡수되며 5-ASA는 1/3만이 흡수된다.

5-ASA가 활성형이라 여겨지며, 대장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염증 반응을 감소시킨다.



Clinical Uses  
  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

미승인 효능 (FDA) :
강직성 척추염, 콜라겐성 대장염, Crohn 질병, 류마티스 관절염

Pharmacokinetics  
   흡수 :
미변화체로는 약 30%가 소장에서 흡수된다. (흡수된 양은 대부분 미변화체로 담즙 분비됨)

Sulfapyridine은 대장에서 대부분 흡수된다.

분포 : 유즙 분비

단백결합 :
Salfasalazine : 99% 이상

Sulfapyridine : 50%

5-ASA (5-aminosalicylic acid) : 약 55%

대사 :
대장에서 5-ASA와 sulfapyridine으로 분해된다.

흡수된 5-ASA, sulfapyridine은 간에서 대사된다. (특히 sulfapyridine의 대사에는 아세틸화 대사가 중요함)

반감기 : 5.7-10 시간
Sulfapyridine : 평균 9시간 (아세틸화능에 의존적)

소실 :
Sulfapyridine 및 그 대사체로서 소변으로 배설된다. (미변화체로는 소량이 신배설됨)

5-ASA는 주로 대변으로 배설된다.



Usual Dosage  
  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투여하며, 야간에는 8시간 이상의 투여간격을 두지 않도록 한다.

식후에 투여하며, 4 g/day 이상 투여시 부작용이 증가한다.

2세 이상의 소아 : 경구 :
초기용량 : 40-60 mg/kg/day, 1일 4-6회 분할 투여

유지용량 : 20-30 mg/kg/day, 1일 4회 분할 투여

최대용량 : 2 g/day

성인 : 경구 :
초기용량 : 3-4 g/day, 1일 3-4회 분할 투여
1-2 g/day 투여시 위장관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.

유지용량 : 2 g/day, 1일 4회 분할 투여

최대용량 : 6 g/day

탈감작 요법 : 재투여시 사용 :
초기용량 : 50-250 mg/day로 투여 시작

증량 : 유효 치료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4-7일 간격으로 두배씩 증량

과민반응이 재발하면 약물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.

무과립구증, anaphylaxis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탈감작을 시도해서는 안된다.

신장애시 용량 조절 :
CLcr 10-30 mL/min : 1일 2회 투여

CLcr < 10 mL/min : 1일 1회 투여

간장애시 용량 조절 : 투여를 피한다.


Adverse Reactions  
   자주 일어나는 부작용
비뇨생식계 : 가역적인 핍정자증

위장관계 : 오심, 구토, 식욕감퇴, 설사

중추신경계 : 발열, 어지러움, 두통

피부 : 소양감, 발진, 광과민성

가끔 일어나는 부작용
간 : 간염

피부 : Lyell 증후군, Stevens-Johnson 증후군

혈액계 : 과립구감소증, 백혈구감소증, 혈소판감소증, 재생불량성 빈혈, 용혈성 빈혈



드물게 일어나는 부작용
간 : 황달

내분비계 및 대사 : 갑상선 기능 장해

비뇨생식계 : 결정뇨

신장 : 간질성 신염, 급성 신증, 혈뇨

기타 : 혈청병 유사 반응


Overdosage/Toxicology  
   중독 증상 : 졸음, 어지러움, 식욕감퇴, 복통, 오심, 구토, 용혈성 빈혈, 산증, 황달, 발열, 무과립구증, aniline radical로 인한 혈액학적 독성

치료 : 다량을 배뇨시키는 것이 소실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부전을 예방할 수 있다.



Contraindications  
   본 약물 및 그 대사체, sulfonamides, salicylates에 과민성

2세 이하의 영아

위장관 폐색, 요로폐색

포르피린증


Precautions  
   다음의 경우에는 주의하여 사용한다. :
아세틸화 능력이 약한 집단

간기능 부전, 신기능 부전

혈액질환

중증의 알러지 질환

기관지 천식

Glucose-6-phosphate dehydrogenase 결핍

엽산 결핍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엽산 1 mg/day의 보충을 고려해보아야 한다.

결정뇨 및 뇨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 체액을 보충하고 충분한 배뇨량을 유지시켜야 한다.

부작용의 발현시기는 치료시작 수일∼12주 이내이며, 4 g/day를 초과하는 경우 부작용 발현률이 증가한다.

임산부에서는 명확히 필요한 경우에 제한하여 투여할 수 있다.


Pregnancy Risk Factor [도움말]  
    
(임신말기 : D)



Stability  
   차광 보관

Interactions  
   효과 감소 : Iron, PABA, procaine, proparacaine, tetracaine

다음 약물의 효과 감소 :
Digoxin : 생체내이용율 감소

Methotrexate

경구용 항응고제

경구용 혈당강하제


Nursing Implication  
   치료 초기 며칠 동안에 위장관 부작용이 흔히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식사와 함께 투여한다.

뇨, 피부색을 노랑색∼주황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다


<출처 : http://www.druginfo.co.kr 에 있는 정보입니다.
2001년 Asurajang.com 게시때 druginfo에 허락을 받았으나
저작권과 관련된 문제된 사항이 있으면 통보 즉시 삭제하겠습니다>

댓글